본문 바로가기
Progenity/위장 건강(Gastrointestinal Health)

(19.5.17) 생쥐 모델의 유도된 대장염 치료에서 전신(IP) 대 표적(IC) 항-TNFα 항체의 비교

by 바이오외계인 2021. 12. 31.

이 자료는 개구리가 19.5.17 

Digestive Disease Week 2019 에서 발표한 연구 자료이다.

 

https://www.progenity.com/publications/ingestible-technologies-proof-concept

 

Proof-of-concept data on new ingestible technologies | Clinical Publications | Progenity

 

www.progenity.com

 

프리젠테이션 내용을 이해한대로 간추려서 소개해볼게요.

 

자료에 보면 실험 결과 차트가 몇개 있는데 아무리 봐도 이해가 안되서... 올리긴 하는데 멘트는 못달겠어요.

참고만 해주세요~

(아시는분은 댓글 부탁합니다 ^^)

 

 


Introduction

  • 아달리무맙, 인플리시맙은 TNFa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이며 이는 IBD 치료에 혁명을 일으켰다. 
    (TNFa가 염증을 유발하는가 봅니다. IBD치료의 혁명은 지금의 휴미라 매출을 보면 알듯하네요.)

  • 이 항체는 가용성 TNFa에 결합하여 유도 염증 과정을 차단합니다.

  • 최근 간행물의 동향은
    1. 활동성 IBD 환자의 병든 조직에 도달하는 항-TNFa 항체 약물의 양이 부적절할 수 있고
    (약물에 포함된 항-TNFa이 질병부에 도달하는 양이 적다고 말하는 듯 합니다.)

    2. 높은 TNFa 부담이 적절하게 억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.
    (약물의 전신노출에 대한 부작용을 걱정하는 것 같습니다.)

  •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적응형 T-세포 이식 유도 만성 대장염 생쥐에서 전신 복강내(IP) 주사 Vs 표적화된 뇌내(IC) 항-생쥐-TNFa 항체(인간 항-TNFa항체의 대리)의 효능을 평가했습니다.

다음으로 가기 앞서서 비교 대상군인

IP 와 IC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 

IP : intraperitoneal injection(복강 내 주사)

정맥에 주사하는 방법만큼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는 않지만, 그보다 쉽고, 효과가 빠른 방법

복강(peritoneal cavity)은 위, 소장, 대장, 간 등 배쪽에 위치한 여러 장기를 감싸고 있는 주머니
복강내 주사법은 작은 실험동물에게 많이 쓰는 약물 투여 방법입니다.

 

위 사진이 IP 복강 내 주사이다.

구글에서 찾았으며 작은 실험동물에게 많이 쓰이는 투여법인 만큼 사진을 찾기가 쉬웠다.

 

 

IC : targeted intracecal

(번역기로는 뇌강내 주사라고 하는데 뇌강내 주사를 찾아보니 척수강내 주사 사진이 나오는데...

아무리 봐도 이 연구자료랑은 흐름이 맞지 않는것 같더라구요. 그래서 찾는데 애먹었습니다.)

빨간 부분이 intracecal injection 부분입니다. 이건 캐뉼라 이식하지 않은 경우이고 저부분에

3일된 강아지이긴 한데 위 그림처럼 캐뉼러를 맹장에 연결해서 약물을 주입한 케이스라고 보시면 됩니다.

 

Methods

  • 맹장으로의 국소 전달의 용이성을 위해 실험 2주 전에 맹장 캐뉼러의 이식을 받음.
  • 복강내 주사로 대장염(0.5x10)이 유도됨

위 그림이 전반적인 실험경과입니다.

 

실험 시작 20~14일 전에 맹장 캐뉼러를 삽입

실험 당일(0일)차에 T세포를 이식 하고 대조군별로 약물을 주입

그리고 CD45+ / CD4+ 모델을 유세포분석(FACS)를 통해서 분석

대장염 중증도 및 대변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14, 28, 42일에 내시경 검사

 

 

 

실험결과 분석은 생략하겠습니다 ^.^ 대략 IC 모델이 더 효율적이라는 말입니다.

 

Conclusion

  • 인간 모델의 연구에 따르면 병든 조직에 도달하는 항-TNFα 항체가 부적절하여 지속적인 염증을 유발합니다.
    따라서, 우리는 항-TNFα 항체의 표적 및 국소 투여가 대장염의 입양 T-세포 전달 마우스 모델에서
    전신(IP) 분포와 비교할 때 개선된 효능을 초래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.

  •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할 때 표적(IC) 항-TNFα 항체를 투여받은 동물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체중 감소(%),
    감소된 질병 활성 지수, 개선된 조직학적 점수 및 감소된 조직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발견되었습니다.

  • 표적 IC 전달은 가장 중요한 종점 총 조직학적 점수 및 근위 결장의 내강에서 점막하층까지의 림프구 수에서 전신(IP) 항-TNFα 항체와 비교할 때 훨 씬 더 효과적이었습니다.

  • 위장관에서 국소적으로 작용하도록 고안된 경구 투여, 최소 흡수 약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IBD를 치료하기 위한 표적 IC 항TNFα항체에 대한 효능의 증거를 제공한다고 믿습니다.